카테고리 없음

악명의 '스탈린' 그는 누구인가?

thanks ! 2022. 4. 14. 23:21
반응형

 



러시아가 우크라이나를 침공하자 러시야 대통령들이 궁금해지네요. 그래서 오늘은 스탈린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태어난 곳



1878년 12월 18일 러시아 제국 조지아 동부 고리시의 오세트계 제화공 (베사리온 주가슈 빌리) 아버지와 재봉사(케케 겔라제) 어머니 의 슬하에 삼남으로 '이오시프 주가시빌리' 가 태어납니다. 천연두 후유증으로 곰보자국 이 뚜렸했으며 외소한 체격에 친구들에게 놀림 당하기도 했다고 하네요.

술주정뱅이의 아버지를 빨리 잃고 어머니의 노력에 스탈린은 정교회 신학교에 입학했으 나 학교의 억압적인 분위기와 상류층 학생들 의 멸시가 적응을 어렵게하고 반항아 기질에 불을 붙였습니다.
일찍이 비밀결사 다시에 가담하여 결국 티플리스의 그리스도 정교회 신학교에서 추방당하게 됩니다.

젊은 시절

 


1899년 21세 부터 노동 활동과 혁명에 몸을 던지고 트빌리시 천문대 서기가 됩니다. 또한 캅카스에서 지하 정치 운동에 가담하고 노동 운동가가 되어 노동자 시위와 파업을 선동하 고 탁월한 언변으로 시위에 앞장서게 됩니다.

1903년에는 레닌이 쓴 책을 읽으며 크게 감 명하여 볼셰비키가 되지요. 캅카스 지방 공단지대 노동자 시위와 파업을 선동하고
탁월한 언변으로 시위에 앞장섭니다.
핀란드의 탐머르포스에서 열린 볼셰비키 (다수파) 대회에 참석할 정도로 활발한 활동을 이어갔습니다. 이때 평소 동경하던 레닌을 만나 그에게서 얻은 이름이 바로 스탈린입니다.






1906년 28세 스바드니제와 결혼하지만 아들 야코프를 낳고 2년후에 발진티푸스로 사망하 지요. '예카테리나 스바드니제' 그녀는 약 2년 동안 의 결혼생활 동안 가부장적이고 폭력적인 남편에게 시달렸지만 그 남편은 그녀를 너무 너무 사랑합니다. 아내를 죽음에 통곡하며 친구에게


“내게 마지막으로 남아 있던 인간적인 감정도 죽고 말았네.”


라고 말합니다. '이오시프 주가시빌리' 는 레닌이 지어준 '스탈린' (강철의 인간) 이라는 별명으로 비인간성으로 많은 인민의 피 위에 강철의 제국을 건설한 그 였지만 아내의 죽음 앞에서 서럽게 통곡한 인간적인 모습도 보여줍니다.

 



1917년 39세 러시아 황제 니콜라이 2세가 자리에서 퇴위되자 시베리아에서 러시아로 돌아오지요. 혁명으로 제정이 붕괴되고 '케렌스키' 임시 정부가 출범합니다. 그는 레닌을 지지하고 임시 정부 전복을 주장 하지요.
레닌이 핀란드로 도망가고 그는 볼세비키 (다수파) 중앙위원으로서 레닌이 없는 볼셰 비키당을 지도하지요. 레닌 트로츠키 스탈린 등 볼세비키가 혁명에 성공하고 임시 정부 각료 전원을 체포하지요. 볼셰비키(다수파) 가 집권하고 그는 인민위원회 내무 인민 위원 장관에 임명됩니다.

1919∼1922년 국가통제위원 이어서 초대당 서기장이 되어 죽을 때까지 그 자리를 유지하면서 반세기 동안 독재적으로 전(全) 소련을 통치하지요.

1922년 5월 뇌졸중 발작을 일으키게 된 레닌은 모든 정무를 스탈린에게 대리하도록 지시했는데 그러한 과정 중에 스탈린의
냉혹함과 비인도성을 파악하게 되어 1922년 12월 말에 작성한 유서에서 집단 지도체제를 선택해야 하며 스탈린은 권력을 독점하지 않도록 해야하며 현재의 자리에서도 해임해 야 한다고 밝혔지만 스탈린은 그 유서를 은폐 하고 삼두정치 체제를 수립하며 독재체제를 완성시키게 되었습니다.


소련의 서기장 시기

 

 


소련 공산당 서기장(1922~53) 과 주석을 지냈던 소련의 독재자이고 국제사회의 차가 운 시선속에서도 소련을 공업화 시켜 세계 주요 강대국으로 변모시킨 주인공 이오시프 스탈린이지요. 그는 1922년 소비에트 연방공화국이 세워진 전후를 서기장으로 지내며 소련의 인물로 전무후무한 경고의 본이되는 인물이 되지요. 1936년에 '스탈린헌법' 이 제정됩니다.

2차세계대전 동안에는 독일을 패배시키는데 크게 공헌을 세웠으며 소련의 지배권을 동유럽 여러나라로 확장합니다.
한마디로 그는 소비에트 전체주의의 최고 설계자이지만 그 과정에서 개인의 인권은 말살되었고 생활수준도 나락으로 치닫게 되지만 강력한 군사력으로 세계를 핵무장 시대로 이끌며 마치 자신을 숭배하도록 20세 기 공포정치의 상징적인 인물이 되지요.

스타린 사망

 


1953년 '이오시프 스탈린'은 가까운 지인들 과 함께 영화를 본 뒤 방해하지 말라는 말과 함께 잠자리에 들게 되었지요. 다음날 경호원들이 그의 방에 들어가자 스탈린은 바닥에 쓰러져 있는 모습을 보게됩니다. '스탈린' 은 결국 3월 5일 정치적 책략과 독살 음모설이 뇌졸증등 이러가지 설이 난무하는 가운데 사망하게 됩니다.

 



유리관에 안치된 스탈린의 시신을 보기 위해 수 백만명이 모여들었고 소련 시민들에게 25년 동안 흔들림 없는 철권 통치의 주인공 이 사망했다는 소식은 미래에 대한 깊은 공포 와 불확실함을 남기게 되지요. 소련사람이 아니어서인지 절대 이해할 수는 없지만 시베 리아 강제 수용소의 수감자들 조차 눈물을 흘렸다는 이야기도 있었다고 합니다.





이슬露(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