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머릿글
누구에게나 타고난 천성은 다 다르지요. 태어 나면서 부터 적극적이고 야무지고 똑똑한 사 람이 있는가 하면 더디고 소극적이며 자신감 이 없는 사람이 있잖아요.
그런 사람은 아무래도 똑똑사람과 같은일을 하고자 한다면 치밀하게 계획하고 더욱더 준비를 철저히 해야만 똑똑한 사람과 엇비슷 하게 될것입니다. 첨부터 똑똑한 사람이라면 좀더 면밀히 준비하고 계획한다면 훨씬 목적 을 이루기가 쉬울것입니다. 더 크게 성공할 확률이 높을 것입니다.
유비무한'有備無患' 준비를 철저히 한만큼 긴장된 마음이 편해지니까요.
- 》 유비무한 뜻
有: 있을 유
備: 갖출 비
無: 없을 무
患: 근심 환
유비'有備' 준비를 하면 무환'無患' 걱정이 없어진다. 유비무한 철저히 준비를 하면 걱정이 줄어든다는 뜻입니다.
혹시 연단에서 마이크를 잡고 많은 청중 앞에서 자신을 소개한다거나 연설을 한 경험이 있으신가요?
이런 경우 누구나 떨리고 긴장하게 됩니다. 매일 마이크를 들고 말하는 직업이 아니라면 대부분은 떨리는게 정상이지요. 하지만 보통 사람들도 떨지 않는 비결이 있다고 합니다. 반가운 말이지요? 철저한 준비가 되었을 때는 훨씬 덜 떨린다고 해요. 세련되지는 않을지 모르지만 엉성하게라고 준비한 만큼은 보여 줄수 있으니까요. 그래서 준비한 정도에 따라 떨리는 정도가 다르다고 합니다.
"연단에서 떨리지 않는 최고의 비결은 준비이다."
이처럼 꼭 연단에서의 문제가 아니라도 계획 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서는 준비한 만큼 목표에 가까이 갈 수 있으니까 '유비무환'이 반드시 필요하지요.
반대로 생각해 본다면 일생일대에 중요한 발표가 있는데 자신을 믿고 전혀준비하지 않 고 올라 간다면 전달하고픈 내용을 잘 전달 할수 있을까요? 어찌어찌 마칠수 있을지는 모르지만 불가능하다고 봐야겠지요. 내용은 엉망일 테니까요. 이처럼 준비를 한 사람과 안한사람의 차이는 어마어마하게 크지요.
시험 기간에는 시험준비를 철처히 하고 운동 선수는 경기 대비를 위해 철저히 준비해야겠 지요. 또 나이에는 장사가 없다고 하지요. 40 50대에는 서서히 체력 강화하기 위해 운동으 로 몸을 단련할수 있습니다. 물론 노력으로 안되는 것들도 있지만 미리 준비한다면 우리 의 한계내에서 막을수 있는 일이나 늦출 수 있는 일들이 있으니 '유비무환' 잊지 말아야 겠습니다.
- 》 유비무환 유래
춘추좌씨전에 나오는 춘추전국 시대의 진(晋)나라왕 도공(悼公) 시절 때의 이야기 입니다.
중국 춘추시대 때 정나라가 송(宋)나라를 침략하자 송나라는 진(晋)나라에게 도움을 요청하지요. 이에 진나라의 도공(悼公)은 다른 나라들에게 사신을 보내 연합군을 편성한 후 부하인 사마위강의 지휘 아래 정나라의 도성을 포위하여 정나라는 연합군 과 상호불가침조약을 맺게 됩니다.
그리고 남쪽의 대국이었던 초(楚)나라는 이러한 북쪽 국가들의 결속에 위기감을 느껴 정나라를 침공했고 정나라는 초나라와도 화친을 맺게 되지요.
이에 불만을 품은 12개국 연합군은 정나라를 공격하게 되고 진나라의 주도로 화해할 수 있 게되자 위기를 넘기게 됩니다. 이에 진나라 도공은 병기와 악사, 미인 등 많은 보물을 정 나라에게 받게 되지요
도공은 이번 일에 공이 많았던 위강에게 정나라에게서 받은 보물의 절반을 하사하려 고 하는데 위강은 이를 사양하면서 "편안할 때에 위기를 생각하십시오. 대비태세가 되어 있으면 근심이 사라지게 됩니다. (有備則無患)"라고 말했다고 합니다. 모든 일에 미리 사전에 준비하면 근심이 없다는 것이지요. 이 유비무환(有備無患)이란 고사성어는 춘추전 국 시대부터 오늘날까지 내려오는 말로서 국 가나 개인 모두가 살아가는데 말과 행동에서 반드시 필요한 고사성어이기 때문에 꼭 알아 두었으면 하는 바램으로 글 올립니다.
오늘날
'고사성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탐대실(小貪大失)뜻 유래 - 어리석음 (0) | 2022.02.08 |
---|---|
감언이설'甘言利說' 뜻 유래 - 사탕발림 주의보 (0) | 2022.02.04 |
'청출어람'뜻 유래 - 나보다 났네 ! (0) | 2022.01.31 |
"절차탁마''(切磋琢磨)가 무슨 뜻이냐고? - 뜻과 유래 (0) | 2022.01.29 |
"새옹지마" 뜻 유래 - 문장 만들기 (0) | 2022.01.24 |